AAC 사용자들과 정보, 자료, 의견을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유익한정보] ISAAC2016: 친구와 함께 하면 더 효과적인 AAC 중재 | |||||
---|---|---|---|---|---|
작성자 | 엔씨소프트문화재단 | 작성일 | 2016.09.02 | ||
첨부파일 | |||||
<친구와 함께 하면 더 효과적인 AAC 중재> (Communication Circles : with a little help from my friends) - Caroline Ramsey Musselwhite (언어병리학자) □ 언어 장애를 가진 아이들에게 필요한 세 가지 1) 말할 수 있는 기술 2) 읽을 수 있는 기술 3) 쓸 수 있는 기술 □ Communication Circles(CC)이란? - 커뮤니케이션 기기를 사용하여 대화에 모두가 참여해야 한다는 아이디어를 촉진시키기 위함 - 동료 지도자(peer tutor)모델의 연장으로 또래, AAC이용자, 전문가가 함께 계획, 참여하는 활동 □ 또래 상호작용(Peer Interaction) - 언어장애를 가진 아이들도 AAC를 통해 또래들과 상호작용 할 수 있다. - 비장애인 아이들도 장애아동과 상호작용 하기 위해 훈련을 함께 받아야 한다. *용어참고) Peer Helper : 봉사의 일종으로, 한 명을 상대하고, 봉사가 자신의 일임(상호적이지 않음) Peer Support : 연대(solidarity)의 일종으로, 상호적이고 장애아동과 기기를 공유하고, 주변 모든 학생들의 학습을 도움 □ 사례 1 : Maggie - 6학년, 언어장애 - 5학년부터 Communication Circle 적용을 시작함 - 주변 아이들이 Maggie의 선생님이 되어 대화 속에 새로운 단어를 가르치는 식으로 의사소통 유도함 - CC 도입 이후 Maggie에 대한 아이들의 관심 증가, 함께 수업시간 참여 증가, 상호작용 증가! □ 사례 2 : Johnnie - 2 학년, 말 실행증 - 커뮤니케이션 기기 사용을 거부해서 대신 initial letter cueing board 사용 : 음절 표현 가능한 아동의 경우, 표현하고자 하는 단어의 첫 글자를 보여줌으로 상대방이 단어를 추측하는 형식 (빠른 대화를 위해 사용. initial letter을 쓰고도 추측이 불가능 한 경우 AAC 사용) - 4개월간의 initial letter cueing board 사용 후 단어 추측 능력 향상→ 선생님, 또래들과의 상호작용 증가 □ 사례 3 : Nigel - 4학년, 장애아동 - 스위치를 통해 AAC를 사용하는 아동; 하지만 아직 스위치 사용이 능숙하지 않았음 - 또래들로 하여금 Nigel이 스위치를 제대로 사용 했을 때 체크하게 함(또래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활동 준비) - 함께 참여하는 활동으로, 또래들도 즐겁게 참여 - 또래들이 Nigel이 할 수 있는 다른 활동을 스스로 만들어 함께 참여했고 스위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Nigel의 동기를 부여해줌 □ 사례 4 : Sidney - 언어장애 청소년 - 중학교 때 익숙한 동네에서 새로운 곳으로 이사, 새 학교에 적응을 잘 못함 - 치료사들은 CC를 통해 Sidney가 새로운 학교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함 - Circles of Friends를 만듦 - 교내 하나의 가족이 되어 서로를 도와줄 수 있었고, Sidney뿐만 아니라 다른 아이들도 서로 의지하는 사이가 될 수 있었음 (현재까지도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 Circles of Friends를 만들 때 항상 ‘착하고’, ‘적극적인’ 아이들이 아니어도 됨 ※ Jane Odom저자, ‘Circles of Friends’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