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완 · 대체의사소통, AAC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상징Symbols
+도구Aids
+기법Techniques
+전략Strategy
AAC 상징을 분류할 때는 별도의 도구 사용 여부에 따라서 도구적(aided) 상징과 비 도구적(unaided) 상징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Beukelman & Mirenda, 2013). 즉, 별도의 도구 사용 없이, 자신의 신체 일부를 사용하는 몸짓이나 수화는 비도구적 상징이며, 그 외 다른 도구를 사용할 경우는 도구적 상징이라고 합니다.
Low 와 High Tech의 구분이 분명한 것은 아니며, Low Tech 라고 해서 상대적으로 기능이 떨어지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용자의 개인능력이나 활용목적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략이란 AAC 사용자가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할 때의 효율성(예: 정확도, 시간)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말합니다. AAC를 사용하는 경우 구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의사소통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메시지의 부호화 전략, 낱말과 문장의 예측 전략 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 말-언어장애 아동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용을 위한 탐색 / 김영태 / 2014)